오늘 알아볼 것은 리눅스 기본 명령어입니다.
파일 시스템
ls
list segment의 약자로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및 디렉토리 리스트를 출력한다.
또한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여 탐색이 가능하다.
- -a: 모든 파일(숨김파일 포함)을 출력한다
- -l: 파일의 자세한 정보를 출력한다
- -t: 최근에 생성된 순서로 출력한다
- -S: 파일들을 크기의 내림차순으로 출력한다(큰 파일이 위)
pwd
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를 출력한다
cd
지정한 경로(디렉터리)로 이동한다
- cd ~: 홈 디렉터리로 이동
- cd /: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
- cd.:현재 디렉터리
- cd..: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
- cd -: 이전 경로로 이동
mkdir
디렉터리를 생성한다
- mkdir dirn : dirn라는 디렉토리 생성
- mkdir dir1, dir2 : 한 번에 여러 개의 디렉터리 생성
- mkdir -p dirn/sub_dirn : dirn이라는 디렉토리 생성, sub_dirn라는 하위 디렉터리도 생성
mrdir
디렉터리를 삭제한다
rm
파일 및 디렉토리를 삭제한다
- -f : 파일 및 디렉토리를 삭제한다
- -r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삭제한다
파일 관리
cat
텍스트 파일 내용을 화면에 출력한다
- ('>')를 사용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
touch
사용자가 지정한 파일명의 0바이트 빈파일을 생성, 파일의 날짜와 시간을 수정
cp
copy의 약자로, 시스템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한 폴더에서 다른 폴더로 복사
- -a : 속성 부분도 모두 복사한다
- -f : 복사할 곳에 기존파일이 있으면 제거하고 복사한다
- -r : 디렉터리를 재귀적으로 복사한다
mv
move의 줄임말로, 디렉토리를 이동, 현재 위치에 이름만 바꿔서 이동시키는 식으로 파일의 이름을 변경가능
- -b : 이동시킬 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백업파일을 만든다
- -i : 이동시킬 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사용자에게 덮어쓰기 여부를 묻는다
- -f : 이동시킬 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강제로 덮어쓴다
- -r : 하위 디렉토리까지 모두 이동
- -v : 이동 진행 상태를 출력한다
I/O 및 소유권
(I/O는 입력(Input)/출력(Output)의 약자로, 컴퓨터 및 주변장치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그램, 운영 혹은 장치를 일컫는 말)
chmod
파일 퍼미션을 입력된 권한값에 맞게 변경한다
chown
파일 소유권을 입력된 소유주에 맞게 변경한다